취준생이라면 꼭 챙겨야 할 정부지원금 4종 세트
취업 준비만으로도 벅찬데, 생활비와 면접 비용까지 부담이라면 정말 힘들죠.
그런데 정부가 취준생을 위해 마련한 지원금과 혜택을 제대로 활용하면,
👉 한 달 생활비 + 면접 비용 + 교육비까지 모두 절약할 수 있습니다.
오늘은 2025년 기준으로 취준생에게 가장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4가지 정부지원 제도를 정리해드립니다.
1. 국민취업지원제도 (최대 월 90만 원 지원)
- 지원 내용
- I유형: 최대 월 90만 원 × 6개월 = 총 540만 원 현금 지원
- II유형: 직업훈련수당, 상담·알선 서비스 제공
- 대상
- 만 18세~34세 청년
- 미취업자, 저소득 구직자, 졸업 후 2년 이내 청년 등
- 장점
- 단순 현금지원이 아닌 → 상담, 직업훈련, 일경험까지 포함
- 취업 성공률 ↑
👉 신청 방법
고용센터 방문 또는 국민취업지원제도 홈페이지
2. 면접정장 무료대여 + 면접수당
- 정장 무료 대여
- 서울시 ‘취업날개’: 연 10회 무료
- 경기도: 구두·셔츠 포함 대여 가능
- 타 지자체도 유사 서비스 제공
- 면접 수당
- 경기도: 1회 5만 원, 연 최대 50만 원 지급
- 일부 지역: 교통비·식비 형태 지원
👉 신청 팁
- 면접 문자/이메일, 면접확인서 첨부 필수
- 지자체 청년포털 (서울청년포털, 잡아바 등)에서 신청
3. 국민내일배움카드 (국비지원 훈련비)
- 혜택: 5년간 최대 500만 원 훈련비 지원
- 대상: 취준생, 재직자, 프리랜서까지 가능
- 활용 가능 과정
- IT: 데이터 분석, 웹·앱 개발
- 디자인: 영상편집, 그래픽툴 실무
- 사무: 엑셀·ERP 등 실무 과정
- 취업특화: 직무면접, 자소서 컨설팅
👉 신청: HRD-Net 회원가입 후 상담 → 카드 발급 → 교육 신청
👉 꿀팁
교육 참여 시 교통비·식비 등 훈련장려금도 별도 지급됨.
4. 청년 일경험 지원사업 (미래내일 일경험)
- 유형
- 인턴형: 중소기업에서 실무 경험
- 프로젝트형: 단기 협업 프로젝트
- ESG형: 사회적 기업·공익기업 참여
- 혜택
- 월 평균 180만 원 수당
- 최대 6개월 참여 가능
- 실제 경력증명서 발급 → 취업 스펙 활용
👉 신청: 워크넷 청년일경험에서 공고 확인 후 지원
상황별 추천 조합
상황 | 추천 조함 |
생활비 부담 큰 경우 | 국민취업지원제도 + 일경험 프로그램 |
면접 준비 중 | 정장 대여 + 면접수당 + 내일배움카드 |
취업 공백기 활용 | 내일배움카드 + 프로젝트형 일경험 |
정부에서 주는 혜택, 모르면 그냥 사라지는 돈입니다.
오늘 소개한 취준생 지원 4종 세트만 잘 챙겨도
👉 생활비 + 면접비 + 교육비까지 수백만 원 절약 가능합니다.
👉 다음 글 예고 (3회차)
『사회초년생 재테크 필수 가이드 – 청년도약계좌, 청년통장, 전세대출 총정리』
'생활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직장 초년생 혜택 총정리: 청년 정부지원제도 시리즈4편] 내일채움공제·소득세 감면 완벽 가이드 (0) | 2025.08.29 |
---|---|
[사회초년생 재테크 필수 가이드: 청년 정부지원제도 시리즈 3편]] 청년도약계좌부터 청년통장·전세대출까지 총정리 (2) | 2025.08.28 |
2025년 청년 정부지원제도 총정리 [시리즈 1편 ] (4) | 2025.08.27 |
금융위원회 무상보험 총정리|소상공인·취약계층 보험료 전액 지원 정책 안내 (1) | 2025.08.26 |
2025 상생페이백 신청 방법 및 조건 총정리 (최대 30만 원 환급) (0) | 2025.08.21 |